키네마스터
키네마스터는 2002년 9월 9일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제품은 크게 모바일 동영상 편집앱(KineMaster)과 모바일 동영상 플레이어(SDK)가 있다. 편집 앱 키네마스터의 경우 안드로이드와 iOS 시장을 포함하여, 전 세계 영상 편집 툴(플랫폼 제외) 시장에서 2020년도 3월 말 기준으로는 약 5.4%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키네마스터 주요 상품
주요 제품은 크게 모바일 동영상 편집앱(KineMaster)과 모바일 동영상 플레이어(SDK) 로 구분됩니다.
모바일 동영상 편집앱 KineMaster (Professional Mobile Video Editing App)는 안드로이드 및 iOS용 전문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으로 구글플레이 스토어, iOS 앱스토어 그리고 중국내 3rd Party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에 글로벌로 런칭되어 있으며, 약 155개 국가에 18개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동영상 플레이어 NexPlayer SDK (Media Player Software Development Kits for Service Providers)는 B2B사업으로 미디어, 방송, 통신 회사들에게 제공하는 모바일용 스트리밍 미디어 플레이어 및 HD급 화질의 360도 스트리밍 VR 콘텐츠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바일용 동영상 플레이어입니다.
키네마스터 상한가 이유
키네마스터의 최대주주인 솔본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키네마스터의 주요 주주는 경영권 매각을 위한 주관사 선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에 키네마스터가 상한가를 기록하였다.
키네마스터는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식회사 솔본 및 주식회사 솔본인베스트먼트, 주식회사 포커스신문사, 이혜숙, 임일택, 정재원, 김경중(“최대주주 등”)에 확인한 결과, 최대주주 등이 보유한 당사 주식을 공동매각하기로 합의하였고, 매각을 추진 중이나, 본 공시 시점 현재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이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공시하였다.
키네마스터 3분기 잠정실적
□ 20년 3분기 주요 매출요약
1. 키네마스터 앱 매출액: 6,934백만원
- 전년 동기 4,220백만원 대비 64.31% 성장
- 직전 분기 7,331백만원 대비 -5.42% 감소
마무리
지인이 유튜브를 하면서 '키네마스터'를 사용하였고 호평한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인분께서 유튜브 등 영상편집이 수요가 늘어날것으로 생각해서 '키네마스터'를 장기보유하였는데요. 먼저 지인분께 키네마스터 상한가를 축하드립니다. 저또한 생각하건데, 영상편집이 수요가 늘어나면서 '키네마스터'를 장기적으로 좋게보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호재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댓글